전기방식
피 방식체인 금속표면의 외부에 인위적으로 전류(방식전류)를 유입시키면 전위가 높은 음극부에 전류가 유입 되어 음극부의 전위가 차차 저하되어 양극부의 전위에 도달하며
결국 음극부 전위와 양극부 전위가 일치되어 진다.
그 결과 금속 표면에 형성된 부식전류가 소멸되고 부식현상이 정지되며 피방식체인 금속은 완전한 방식상태에 이르게 된다.
이러한 원리를 응용한 방식법을 음극방식(Cathodic Protection)이라 하며, 통상적으로 전기방식이라 불린다.
구분 |
외부전원식(ICCP SYSTEM) |
희생양극식(SACP SYSTEM) |
방 법 |
피방식체가 설치되어 있는 토양이나 해수중에 외부전원용 전극을 설치하고,
직류전원의 (+)극을 연결하고 피방식체(강관)에는 (-)극을 접속시켜 외부전압을 공급하면 전극의
방식전류가 전해질(토양, 물)을 통해서 피방식체에 유입되어 방식상태가 되도록 하는 방법
|
피방식체인 금속에 이보다 저전위의 금속을 직접 또는 도선으로 연결시키면
양금속간에는 전지 반응이 형성되고 저전위 전극(유전양극)에서는 금속이 이온으로 용출되어
전류가 발생, 이 전류를 이용하여 저 전위의 금속은 피방식체 대신 희생적으로 소모되어 피방식체
부식이 정지상태가 되게 하는 방법
|
적용양극 |
고규소철전극, 연은전극, 자성 산화철전극, 백금전극, LIDA 전극,
흑연전극, MMO전극 등
|
알루미늄 합금양극, 마그네슘 합금양극, 아연합금 양극 |
장 점 |
- 내소모성 양극을 사용하므로 양극 수명이 길다.
- 방식 전류의 인위적 조절이 가능
- 작은 양극으로 큰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어 많은 전류가 필요한 협소한 장소에 유용
- 자동화 방식이 가능
- 전류조절이 가능하므로 저항이 높은 환경에 유용
- 방식범위가 큼
|
- 시공이 간편
- 인위적인 유지관리가 불필요
- 전력이 불필요
- 위험지역 설치 시 이상 없다.(전철 및 고압선 통과지역)
- 기존 시설물에도 시공 가능
- 별도의 설치장소가 필요 없다.
- 전류분포가 균등
- 과다방식에 대한 염려가 없다.
- 인접한 타 시설물에 영향이 없다.
|
단 점 |
- 항상 전원공급이 필요
- 전력비가 계속 지출
- 기기에 대한 유지관리 인원 및 인건비가 필요
- 인접한 타 시설물에 대한 전식 영향을 줄 수도 있다.
- 설치위치의 토지점용이 요구됨
|
- 설치 후 전류조절이 불가능
- 긴 수명을 요구하는 협소한 장소에는 양극의 부피 증가로 설치 곤란
- 환경변화에 따른 전류조절이 불가능
- 저항이 높은 지역에는 비경제적
- 방식범위가 작다.
- 설치개소가 많다.
|